5.2 C
Seoul
Friday, November 22, 2024
KR 中文 日本語
Opinioncolumn백제 : 멸망 그리고 부흥운동

백제 : 멸망 그리고 부흥운동

백제의 멸망과 부흥운동

백제의 멸망은 느닷없는 일이었다.

대륙의 통일왕조와의 오랜 전쟁으로 국력이 거의 고갈된데다가, 연개소문 사후 그의 못난이 아들들의 삽질로 거의 자연사 수준이었던 고구려와는 다르게,
백제는 무왕과 의자왕의 개혁이 성공하여 당대 한반도 최강의 세력을 구축하였으며,
고구려, 백제, 그리고 왜를 잇는 종적 연대의 중심으로서, 신라를 쥐잡듯이 하던 상황이었다.

잘나가던 백제가 한 순간에 무너진 이유는, 고구려 때문에 어려울 것이라는 의자왕의 계산과는 다르게, 당대 세계 최강국, 당나라의 직접 침공 때문이었는데,
늙은 대국 고구려는 당에 대한 견제 능력을 상실한지 오래였던 반면,
고구려 배후의 신라의 전략적 가치는 여전하였으므로,
당은 신라도 구하고, 고구려 공격의 남쪽 루트도 확보할겸 백제를 침공하였다.

백제 공략전에는 당 13만, 신라 5만 등 도합 18만의 군사가 동원되었는데,
이는 백제의 군대 동원능력의 서너배를 훌쩍 넘는 군세로서,
의자왕의 전략과 전술은 당의 강력한 무력 앞에 모조리 무너졌고,
신라를 막는데 사용할 수 있는 병력이 계백의 5000 결사대 정도밖에 없을 정도로,
지방세력들은 개국 초기부터 늘하던 대로 정권의 위기를 방관하였다.
따라서 백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의자왕이 충신의 말을 안 들어서 진 게 아니라,
충신 할애비가 와도 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계백의 처절한 저항이나 관창의 죽음 같은, 감성을 자극하는 황산벌 싸움은 대세와는 별 관계가 없었고, 백강 전투에서의 패배가 결정적이었는데,
나당연합군이 부여로 밀려들어오자 의자왕은 태자 효와 함께 옛 수도 공주로 피난하였고,
제2왕자인 태가 남아서 사비성을 고수하였으나 오래 버티지는 못하여, 결국 1만여 명의 전사자를 내며 궤멸되었다.
나당군은 이어 공주를 함락시켰고, 의자왕과 태자 효도 660년 7월 마침내 투항하여 ,공식적으로 백제는 멸망하였으나,
이는 중앙정부의 붕괴에 불과할 뿐, 백제의 모든 것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수도가 함락되고 왕이 죽고…. 한두 번 겪은 일이 아니지 않는가?

당나라는 사비성을 함락시킨 후 5도독부를 설치하였으나, 그 통제력이 미치는 범위는 군 주둔지역 근방으로 한정되어 있었는데,
소정방의 주력부대가 사비성에서 물러난 뒤부터는, 백제 유민들의 부흥운동이 더욱 활발해졌고,
얼마 안 가 부흥군이 전국을 장악해 버렸다.
또한 왕족 복신과 승려 도침은 왜에 있던 왕자 부여풍의 귀국을 추진하면서,
주류성을 근거로 군사를 모으고 나당군에 대한 공격을 활발히 전개하였는데,
왕조의 부흥을 선언한 이들에게 북서부의 많은 성들이 호응하였고, 
복신은 이들을 결집시켜 사비성을 포위 공격하였다.
사비성에 주둔하던 유인원의 당군과 김인태의 신라군은 본국에 원병을 요청할 수밖에 없었고,
태종 무열왕이 친히 군사를 이끌고 온 뒤에야 위기를 타개할 수 있었는데,
이에 복신의 부흥군은 임존성으로 후퇴하여 흑치상지 군과 합세, 전력을 보강하였고,
다시 주류성으로 돌아와 백강 입구를 막았으며, 당군의 상륙을 저지하는 동시에 사비성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당군의 상륙를 막지는 못하여, 부흥군은 다시 임존성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으나,
662년, 일본에서 왕으로 추대된 부여풍이 원병을 거느리고 도착하자, 다시 적극적으로 전투를 전개하였다.
당시 당나라는 고구려 원정을 위해 신라에게 쌀배달을 시키고 있었는데, 부흥군은 금강 동쪽에서 신라의 북상로를 점령하고, 사비성과 웅진성을 고립시켰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공격하기에도 바쁜 와중에 부대를 파견해야 할 정도로, 기세가 등등했던 부흥군은 안타깝게도 지도층의 내분으로 자멸하고 말았다.
복신이 도침을 죽이고, 부여풍이 또 복신을 죽여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한 것이다.
나당 연합군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부흥군의 본거지인 주류성을 함락시켰고, 구심점을 잃은 부흥군 지도자들 또한 항복함으로써, 
4년에 걸친 부흥 운동도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강력했던 백제의 부흥운동이 내분으로 실패한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나,
항복한 부흥군과 유민들은 668년 이후, 신라의 백제, 고구려 유민 결속정책에 따라,
당이라는 공동의 적에 대처하면서, 동일역사체의식을 형성해 나감으로서, 단일 민족국가 형성에 기여하였다.

김경순
김경순
실존은 본질보다 앞선다.
-advertisement-

댓글을 남겨 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spot_img

Most Viewed Article

-Advertisement-

Hot article

N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