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C
Seoul
Friday, November 22, 2024
KR 中文 日本語
Opinioncolumn고구려 : 1차 여당전쟁, 최고의 수성장군 안시성주

고구려 : 1차 여당전쟁, 최고의 수성장군 안시성주

제 1 차 여당전쟁

수왕조를 양광이 말아 먹는 바람에 중원이라는 사슴은, 같은 선비족 출신인 당 고조 이연의 차지가 되었다.
우리 민족에게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많은 영향을 준 당나라가 시작된 것이다.

창업주의 저주와도 같은 아들들의 골육상쟁의 결과,
형과 동생을 죽이고 아버지 이연을 협박하여 황위를 강탈한 당 태종 이세민이가 즉위하면서 고구려에도 암운이 드리워졌다.
이세민이 이놈도 양광이와 비슷하게 주변국들을 정벌하여 모두 굴복시키고 고구려를 노린 것이다.
이 패륜아들에게 고구려 정벌은 지들 원죄를 씻어내는 세례 비슷한 것이거나, 천하 통일 졸업식 같은 것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고구려로서는 참으로 억울하고도 미칠 노릇이었다.

수나라에게 신물이 나게 당한 고구려는 당시 왕이 평양성 전투의 영웅 고건무였음에도 불구하고,
통일된 중국의 힘을 두려워하여 처음부터 저자세로 일관하며 알아서 기었다.
당에 사신을 보내 고구려 지도를 헌상하는가 하면, 중국 사신놈들이 오다 가다 보라고 수나라 전몰 병사들의 뼈로 만들어 요서에 세운 전승기념물을 철거하였고, 태자를 사신으로 보내 입조시키도 하였는데,
이렇게까지 했는데도 당나라놈들이 시비를 걸었는지, 631년 이후부터는 전쟁에 대비하여 천리장성을 쌓기 시작하였다.

641년 5월, 이세민은 지도제작 일을 맡은 관리를 사신으로 파견하여 간첩질을 하게 하였는데,
이는 고창국의 멸망을 마지막으로 우방국들이 전멸해 예민해져 있던, 고구려의 조야의 불안감을 극도로 자극하였다.
불안은 내분을 불렀고, 고구려의 지배층은 강, 온파로 나뉘어 대립하게 되었는데,
이 와중에 영류왕이 신흥 귀족 세력인 연가의 힘을 꺾으려 하다가 되치기를 당해, 오히려 연개소문에게 피살되는 사태가 벌어지고 말았다.
연개소문은 영류왕 포함, 귀족 100여명을 제거하고 보장왕을 왕위에 올린 후.
자신은 대막리지가 되어 철권을 휘둘렀으며, 쿠데타의 명분이기도 했던 반당정책을 노골화 하였으므로,
이세민이는 심기가 불편해졌는데, 마침 고구려의 침략 때문에 죽겠다는 신라의 비명이 잇따르자,
세민이는 우선 외교적 압력을 행사하여 고구려의 간을 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연개소문은 영류왕과 다르게 사신까지 구금하며 배짱을 부렸고,
열받은 세민이는 주군을 살해한 역적 연개소문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켰다.
골육상쟁의 추악한 권력이 악의 무리를 처단하는 정의의 화신으로 탈바꿈하는 순간이었다.

644년 7월, 이세민은 출병에 필요한 군량 징발과 수송에 관한 조처를 취하였고, 장검에게 고구려의 방어 상태와 형세를 탐색하게 하였다.
11월, 장량이 4만여 병사를 이끌고 해로로 평양을 향해 진군하였고, 이세적이 보·기병 6만과 함께 요동으로 진군하였으며, 이세민은 645년 2월 12일, 6군을 거느리고 요동으로 향하였다.
총병력은 20만 정도로 추정된다.

645년, 당군은 남도 중도 북도의 세 갈래로 침입하였는데,
이세적의 선봉군은 가장 평탄한 북도로 신속히 이동하여, 고구려군의 요하 방어선을 기습적으로 돌파하였으며, 현도성을 함락시킨 후 개모성까지 함락하여 군량을 넉넉히 챙겼고,
일부 군을 주둔시켜 신성 방면의 고구려군을 견제하게 한 뒤, 주력을 남쪽의 요동성으로 진군시켰다.
장검은 남도를 취해 도하한 뒤, 이민족 부대를 거느리고 건안성을 공격하였고, 고구려 지원군 4만을 기병 4천으로 저지하였다.
이세민이의 본군은 중도를 취해 요택을 건너 요동성으로 몰려들었고.

당의 주력이 도착함에 따라 요동성의 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고구려군은 무당에게 굿까지 하게 하는 등 있는 힘, 없는 힘을 모조리 동원하여 최선을 다해 저항하였으나, 적이 워낙 강하였다.
수양제의 백만 대군에도 그렇게 견고하게 버티었던 요동성이건만, 이세민의 기동력이 가미된 전술에는 허망하게도 열흘 만에 무너지고 만 것이다.
당군은 기세를 살려 백암성을 함락시켰고. 수군은 요동반도 남단의 천혜의 요새 비사성을 함락시켰다.
세민이가 이렇게 전쟁 초반부터 사정없이 몰아붙이는 통에,
연개소문, 정신이 하나도 없었을 것이다.

당나라 군대는 개모성에서 백암성이 이르는 넒은 지역을 장악하여 확실한 교두보를 마련하였지만, 건안성과 오골성 그리고 신성은 함락시키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고구려의 본격적인 반격이 시작되었다.
고연수와 고혜진은 고정의의 신중론을 묵살하고, 전국에서 닥닥 긁어모은 15만 병력으로 당군과 당당하게 야전에서 맞붙었는데,
시작은 창대하였으나, 세민이의 전략에 말리고, 술수에 속고, 용맹에도 밀려, 수만 명이 전사하였고,
결국 작은 구릉에 3만 7천여 병력이 포위되어 항복하고 말았다.
항복한 고구려 장교만 3천 5백여 명이었고, 말이 5만 필이었다고 하는데,
이 정도면, 군사적으로는 사실상 여기에서 전쟁이 끝난 것이었다.
이게 주필산 전투인데 이 전투에서 설인귀가 두각을 나타내었다.

승리한 이세민은 곧 계획대로 안시성으로 진격하였는데,
당시의 안시성은 성주가 연개소문이 쿠데타에 호응하지 않았고, 서로 창검을 겨누기까지 한 전력이 있는 지라 별 다른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었으므로,
항복을 권유하면 순순히 응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실상은 전혀 달랐다.
항복을 거절한 것은 물론 강하게 방어하며, 전후처리의 단꿈에 빠져있던 이세민이를 오도 가도 못하게 한 것이다.
세민이는 당연히 열 받아 성이 함락되면 모조리 도륙하겠다고 펄펄 뛰었으나, 그건 님 생각이고.
안시성은 낮에는 철저한 수비, 밤에는 야습으로 당군을 농락하였다.
이세민은 수개월에 걸쳐 흙을 쌓아 토산을 만들고, 토산 위에서 나무와 돌을 날려 안시성의 성벽 일부를 허물었으나,
폭우로 인하여 토산이 무너지는 사태가 발생하였고, 그나마 고구려 병사들에게 빼앗기고 말았다.
최후의 희망이었던 토산마저 잃어버리자 세민이는 더 이상 싸울 의지를 잃었고 안시성 공략을 포기하였다.
안시성을 떠난 당군은 결국 퇴각하였는데 퇴로마저 험하여 고생을 많이 하였다고 한다.
을지문덕에 버금가는 고구려의 구성, 안시성주의 이름을 전하는 기록은 없고 다만 양만춘이라는 이름이 야사에 전한다.

당시 당군과 안시성 간의 전투는 무척 치열하여 이세민이 이 전투에서 한쪽 눈을 잃어 애꾸눈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고.
이런 참혹한 패배를 경험한 적이 없었기에, 장안으로 돌아온 후에 “위징이 살아있었다면 반드시 나를 말렸을 터인데, 그가 내 곁에 없다는 것이 너무나 슬프고 애석한 일이다.”라며 한탄하였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런 전설들과는 다르게 이세민은 수만 명 규모의 원정군을 지속적으로 편성하여 요동에서 소모전을 수차례 전개하였고, 재차 대규모 원정을 계획하였으나 명이 짧아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죽었는데,
이 소규모 공격은, 청야 전술을 쓸 수밖에 없는 고구려에게는 치명적인 전술로서,
요동방어선 일대가 초토화되어 결국 불모지로 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수양제는 나라를 말아 먹은 반면 당태종은 내치가 훌륭하여 정관의 치라고 칭송받는 것이 다를 뿐,
고구려에게는 수양제나 당태종이나 다 그 놈이 그 놈이었던 셈이었다.

양만춘이라고 알려져 있는 안시성주.
연개소문의 공격도 막아내었고 이세민의 침입도 막아내는 등 당대 최고의 군사전략가 두 사람을 동시에 머쓱하게 만들었다.
우리 역사상 최고의 수성 장군이란 칭호를 받아 마땅할 것이다.

김경순
김경순
실존은 본질보다 앞선다.
-advertisement-

댓글을 남겨 주세요.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spot_img

Most Viewed Article

-Advertisement-

Hot article

New article